목록Swift 기초 (5)
Woong iOS Study
Can be stored in variables and data structures : 상수와 변수에 저장할수있다 Can be passed as a parameter to a function : 파라미터로 전달할 수 있다 Can be returned as the result of a function : 함수에서 리턴할 수 있다
!(Exclamation Mark) : 논리를 부정하는 것에서 사용 (참은 거짓, 거짓은 참으로 Optional에서는 저장되어있는 값을 강제로 꺼낼 때 사용하는 것이다 ~(Tilde) : 비트연산자에서 사용됨 ₩(Grave Accent/ Back Tick) : 키워드를 아이덴티 파이어로 바꾸는 것을 의미함 @(At symbol) : 코드 자체의 특성을 지정하는 것이다 #(Sharp/Pound/Hashtag) : 특별한 명령어 $(Dollar Sign) : 클로저에서 파라미터 이름을 대체할때 사용됨 %(Percent Sign) : 주로 나머지를 구할때 사용한다 ^(Caret) : 비트연산에서 사용함 &(Ampersand) : 메모리 주소를 얻거나 참조를 전달할 때 사용 *(Asterisk) : 곱하기 연산..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Literal 숫자 7처럼 코드내에서 의미가 변하지 않는 값을 리터럴이라고 한다 let x = 7 -> 리터럴이 7 let x = 5 + 7 -> 숫자 리터럴이 5, 7 let x2 = x > 7 -> 숫자 리터럴 7 Literal의 종류 Integer Literals Floating-Point Literals String Literals Boolean Literals nil Literals Identifier (식별자) 코드에 포함된 요소를 구분하는 것을 식별자라고한다 (코드에서 이름으로 사용되는 것) let x =7 => x 가 식별자 식별자를 쓸때 숫자는 맨처음에 오면 안된다 ex) 1Woong 이렇게 사용하면 안된다 Keyword (예약어) let x = 7 => let이 Keyword이다
Expressions : 식 또는 표현식 Statements : 문장 또는 구문 Tokens : 공백이나 구두점으로 분리할 수 없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 가장 작은 단위의 요소 ex) 2+3; 토큰이 4개 토큰의 종류 Identifiers : 식별자 Keywords : 키워드 Punctuations : 구두점 Operators : 연산자 Literals : 리터럴 if : 참과 거짓을 판단하기 위한 사용하는 키워드 공백: 빈칸이다. 토큰을 구분하는 역활 코드의 가독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프로그래밍에서는 탭과 줄바꿈을 공백으로 분류한다 Expressions : 값 변수 연산자 함수 들이 하나 이상 모여서 하나의 값으로 표현되는 것 ex) let x = 7 x -> 7 x + 1 = 8 (여기서 8이라는 ..